개요
이번에 react + redux-saga + typeScript 의 조합으로 프로젝트 의 구성 및 컴포넌트 작성 규칙을 작성하며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깔금한 프로젝트 구성과 컴포넌트 작성 가이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물론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기준이기때문에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더 좋은방향이 있다면 바꾸어서 규칙을 만들고 사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
1. 프로젝트 주요 사용 lib
- redux - globalState 관리
- redux-saga - 미들웨어 관리
- immer - 불변성 관리
- styled-components : css-in-js 스타일 관리
- typesafe-actions - redux타입 관리
2. 폴더 구성
project
├── dist
├── node_modules
├── src
│ ├── components #redux 등의 상태를 보지않는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 │ ├── xxx
│ │ └── xxx
│ ├── containers # redux 등의 상태가 필요한 비즈니스로직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 ├── core
│ │ ├── api # api 요청 모음
│ │ ├── config # 환경별 config 설정 파일
│ │ │ ├── local.ts
│ │ │ ├── dev.ts
│ │ │ ├── stage.ts
│ │ │ ├── prod.ts
│ │ │ └── index.ts
│ │ ├── utils # 각종 유틸 함수를 작성합니다.
│ │ └── ....
│ ├── models # 타입선언에 대해 해당 폴더에 모아두도록 합니다. - models vs types 네이밍 고민중..
│ ├── pages # 라우팅 페이지를 구성합니다. Next.js도 동일.
│ ├── static # 이미지 파일 등 애셋을 정의합니다.
│ ├── store # redux 스토어
│ │ ├── module #각 reducer 모음.
│ │ │ ├── index.ts
│ │ │ └── ....modules #reducer는 ducks 패턴 으로 사용합니다.
│ │ └── index.ts
│ └── styles // 스타일 영역을 정의합니다.
│
├── .gitignore
├── package.json
├── ,,,,, (extra files)
└── README.md
3. 파일 네이밍 규칙
- containers 폴더내의 컴포넌트는 항상 container 를 subfix로 붙여주도록 합니다.
- models 폴더에 타입들을 선언시 prefix로 각 타입 종류의 첫글자를 적어주도록 합니다. (ex. Enum 타입 파일 Post=> EPost)
- 리액트 컴포넌트 파일은 반드시 tsx 확장자 로 선언 합니다.
4. 타입 정의 규칙
- type 과 interface 의 구분은 다음과 같이 구분 합니다.
5. 컴포넌트 구조
기본적으로 컴포넌트 선언 디렉토리는 다음으로 판단 합니다.
- containers 디렉토리 : redux의 상태 조회 및 값의 변경 등의 비즈니스 로직이 일어나는 컴포넌트
- components 디렉토리 : redux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UI 관련 상태를 제외한 자신의 상태는 최소화 해야 합니다.
- pages 디렉토리 : 라우팅 최초 진입페이지에 대한 컴포넌트를 정의.
6. 컴포넌트 스타일링
- 컴포넌트 스타일 작성은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css-in-js 의 styled-components 를 사용합니다.
- styled-components 를 사용하기 때문에 IDE가 styled-components 에 대한 에디팅 활성화를 위해 플러그인을 받아 주도록 합니다. 웹스톰 플러그인
7. 컴포넌트 작성 가이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 1. 타입 설정의 경우 컴포넌트이름+Props 로 작성합니다.
type TodoItemProps = {
title: string,
content: string
}
/*
* 2. 리액트 함수형 컴포넌트 작성은 arrow function 이 아닌 function(){} 으로 작성합니다.
* function 키워드 컴포넌트 작성은 react 공식메뉴얼에도 해당방식으로 사용하고 방법 현재 추세라고 합니다.
* React.FC 의 기본타입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링크](https://medium.com/@martin_hotell/10-typescript-pro-tips-patterns-with-or-without-react-5799488d6680#78b9)
* - defaultProps가 제대로 동작 하지 않습니다.
* - children 타입이 기본적으로 들어있어 명시적으로 옵셔널, 필수 선택 구분 불가 합니다.
* */
function TodoItem({title, content}: TodoItemProps) {
// 3. return 전 렌더링 변수의 경우는 접두사로 `render` 를 작성해 혼동할 부분을 최대한 줄이도록 합니다..
const renderTitle = <h3>{title}</h3>;
return (
<S.TodoItem>
{renderTitle}
<p>{content}</p>
</S.TodoItem>
);
};
// 4. 기본값 세팅은 export 직전에 작성 합니다.
TodoItem.defaultProps = {
title: '타이틀 기본 값',
content: '콘텐츠 기본 값'
};
export default TodoItem;
/*
* 5. css-in-js 을 통한 컴포넌트 작성으로 스타일컴포넌트인지 실제 컴포넌트인지 네이밍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 `S.` 접두사를 작성해서 선언합니다.
* 스타일 컴포넌트는 항상 최 하단에 작성합니다.
* */
const S: any = {};
S.TodoItem = styled.div`
...style 작성
`;
8. 컴포넌트 작성 방법 - 생명주기 작성 순서.
각 컴포넌트 작성 순서의 일관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컴포넌트 작성을 표준화 합니다.
function Todo({}: TNextPage<todoProps>) {
//1. 컴포넌트 localState 정의
const {title, setTitle } = useState('');
//2. 스토어 영역 정의
const a = useSelector(()=>);
const dispatch = useDispatch();
//3. 생명주기 영역 정의 (생명주기 흐름 순서대로 작성해주도록 합니다.)
useEffect(()=>{},[]) // didMount 우선. unMount 단계도 해당 effect의 return 에서 처리
useEffect(()=>{},[...]) // didUpdate
//4. render될 변수 정의
const renderTitle = <h3>{title}</h3>;
return (
<div>
{renderTitle}
<TodoContainer/>
</div>
);
};
9. 리덕스 작성 방법.
해당 프로젝트 셋업은 redux + redux-saga 로 구성되어 있고 작성패턴은 ducks패턴에 saga를 추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덕스패턴을 이용한 module 작성 규칙
기본적인 모듈들에 대한 작성 순서는 일관성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작성합니다.
import {createReducer, createAction, ActionType} from 'typesafe-actions';
import {takeEvery} from 'redux-saga/effects';
import {produce} from 'immer';
import createAsyncSaga, {asyncAction, asyncActionCreator} from "../../core/utils/reduxUtil";
import {fetchTodo} from "../../core/api/TodoApi";
import {ITodo} from "../../models/ITodo";
import {TAsyncState} from "../../models/redux/TAsyncState";
//1. 각 모듈별 함수 구분을 위한 prefix 각 모듈 파일명 + '/' 의 조합으로 구성합니다.
const prefix: string = 'todo/';
//2. 액션생성자함수에 대해서 정의합니다.
const CHANGE_TODO_TITLE = `${prefix}CHANGE_TODO_TITLE`;
const ASYNC_TOGO = asyncActionCreator(`${prefix}ASYNC_TOGO`);
//3. 액션에 대해서 정의합니다.
export const getAsyncTodo = asyncAction<string, ITodo, string>(ASYNC_TOGO);
export const changeTodoTitle = createAction(CHANGE_TODO_TITLE)<string>();
//4. saga 비동기 관련 함수가 필요할 경우 작성 합니다. (optional) saga함수들의 모음은 최하단에 나열합니다.
const getAsyncTodoSaga = createAsyncSaga(getAsyncTodo, fetchTodo);
//5. 해당 리듀서의 상태 타입을 정의합니다.
export type TTodoState = {
todo: TAsyncState<ITodo>
}
//6. 리듀서의 값을 정의합니다.
const initialState: TTodoState = {
todo: {
loading: false,
data: {
title: '',
content: '',
},
}
};
//7. 리듀서를 정의합니다.
export default createReducer<TTodoState>(initialState, {
[CHANGE_TODO_TITLE]: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changeTodoTitl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data.title = action.payload;
}),
[ASYNC_TOGO.REQUEST]: (stat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true;
}),
[ASYNC_TOGO.SUCCESS]: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getAsyncTodo.success>)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false;
draft.todo.data.title = action.payload.title;
draft.todo.data.content = action.payload.content;
}),
[ASYNC_TOGO.FAILURE]: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getAsyncTodo.failur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false;
draft.todo.data = initialState.todo.data;
draft.todo.error = action.payload;
}),
});
//8. `4`번에서 작성한 saga함수들에 대해 구독 요청에 대한 정의를 최하단에 해주도록 합니다.
export function* todoSaga() {
yield takeEvery(ASYNC_TOGO.REQUEST, getAsyncTodoSaga);
}
모듈 생성시 saga 함수가 추가된다면 해당 함수는 store/index.ts 에 추가해 주도록 합니다.
...
function* rootSaga() {
yield all([todoSaga()]);
}
...
비동기 데이터 타입 구성
비동기 요청 데이터의 경우 loading, data, error 로 분류하여 이에대한 공통타입인 TAsyncState
를 사용하여 정의합니다. 해당 타입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export type TAsyncState<P> = {
loading: boolean;
data: P;
error?: any;
}
10. saga를 사용한 비동기 middleware 사용
비동기에 대한 요청은 요청, 요청성공, 요청 실패 3가지의 상태로 호출하도록 미들웨어를 사용합니다. 이에 대한 액션, 액션생성자, saga메소드 작성 가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동기 액션 생성자 함수 사용
1개의 상태를 REQUEST(요청), SUCCESS(성공), FAILURE(실패) 의 3가지 상태로 구분 처리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유틸함수를 사용합니다.
type TAsyncAction = {
REQUEST: string,
SUCCESS?: string,
FAILURE?: string,
}
export const asyncActionCreator = (actionName: string): TAsyncAction => {
const asyncTypeAction: string[] = ['_REQUEST', '_SUCCESS', '_FAILURE'];
return {
'REQUEST': actionName + asyncTypeAction[0],
'SUCCESS': actionName + asyncTypeAction[1],
'FAILURE': actionName + asyncTypeAction[2],
};
};
위의 유틸함수인 asyncActionCreator
를 통해 호출하면 1개의 액션생성자를 REQUEST(요청), SUCCESS(성공), FAILURE(실패) 3개로 만들어 줍니다. 사용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const ASYNC_TOGO = asyncActionCreator(`${prefix}ASYNC_TOGO`);
2. 비동기 액션 함수 사용
1번에서 작성한 REQUEST(요청), SUCCESS(성공), FAILURE(실패) 3가지 상태를 가진 생성자함수에 대응하는 액션 함수를 위해 관련 유틸함수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import { createAsyncAction} from "typesafe-actions";
type TAsyncAction = {
REQUEST: string,
SUCCESS?: string,
FAILURE?: string,
}
export const asyncAction = <T, P, J>(asyncAction: TAsyncAction) => {
return createAsyncAction(asyncAction.REQUEST,
asyncAction.SUCCESS,
asyncAction.FAILURE,
)<T, P, J>();
}
typesafe-actions
에서 제공하는 createAsyncAction 를 사용하여 request, success, failure 에 해당하는 각 액션 함수를 생성합니다.
유틸함수인 asyncAction의 제네릭 타입선언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request, success, failure>
함수 사용 방법
interface ITodo {
title: string;
content: string;
}
const ASYNC_TOGO = asyncActionCreator(`${prefix}ASYNC_TOGO`);
export const getAsyncTodo = asyncAction<string, ITodo, string>(ASYNC_TOGO);
// 사용시
getAsyncTodo.request('requestParams');
3. 비동기 액션에 대한 saga 함수 작성
2번에서 작성한 액션함수에서 .request()
함수를 dispatch 할 경우 이에 대한 API 호출 이후 그에 따른 .success()
or .failure()
에 대한 dispatch 를 해주는 saga 유틸 함수를 작성합니다.
// payload 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둘다 처리하기 위한 타입.
type TPromiseCreatorFunction<P, T> = ((payload: P) => Promise<T>) | (() => Promise<T>);
export default function createAsyncSaga<RequestType, RequestPayload, SuccessType, SuccessPayload, FailureType, FailurePayload>(
asyncAction: AsyncActionCreatorBuilder<[RequestType, [RequestPayload, undefined]],
[SuccessType, [SuccessPayload, undefined]],
[FailureType, [FailurePayload, undefined]]>,
asyncFunction: TPromiseCreatorFunction<RequestPayload, SuccessPayload>,
successFunc?: any, failureFunc?: any) {
return function* saga(action: ReturnType<typeof asyncAction.request>) {
try {
const result: SuccessPayload = yield call(asyncFunction, (action as any).payload); // api 호출 이때 파라미터는 request()에서 받은 값으로 전달
yield put(asyncAction.success(result)); // success 액션함수를 dispatch 하여 api결과값 반환
if (successFunc) {
yield call(successFunc, result); // 성공 이후의 추가 액션이 필요할 경우 이에대한 callback 선언
}
} catch (e) {
yield put(asyncAction.failure(e)); // failure 액션함수를 dispatch 하여 error 반환
if (failureFunc) {
yield call(successFunc, e); // 실패 이후의 추가 액션이 필요할 경우 이에대한 callback 선언
}
}
}
}
해당 createAsyncSaga
유틸함수에 첫번째 인자에는 3번
에서 작성한 액션함수를 넣어주고 2번째 인자에는 호출할 API함수를 작성합니다. 해당 유틸함수를 통해 작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선언하면 됩니다.
// saga 비동기 함수 선언.
const getAsyncTodoSaga = createAsyncSaga(getAsyncTodo, fetchTodo);
//ASYNC_TOGO.REQUEST 요청이 들어올경우 해당 사가함수를 호출하도록 명시
export function* todoSaga() {
yield takeEvery(ASYNC_TOGO.REQUEST, getAsyncTodoSaga);
}
4. 리듀서 작성
리듀서는 immer를 사용해 불변성을 관리하고 createReducer 유틸을 이용해 다음과 같은 패턴으로 작성합니다.
export default createReducer<TTodoState>(initialState, {
[CHANGE_TODO_TITLE]: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changeTodoTitl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data.title = action.payload;
}),
[ASYNC_TOGO.REQUEST]: (stat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true;
}),
[ASYNC_TOGO.SUCCESS]: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getAsyncTodo.success>)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false;
draft.todo.data.title = action.payload.title;
draft.todo.data.content = action.payload.content;
}),
[ASYNC_TOGO.FAILURE]: (state, action: ActionType<typeof getAsyncTodo.failure>) => produce(state, draft => {
draft.todo.loading = false;
draft.todo.data = initialState.todo.data;
draft.todo.error = action.payload;
}),
});
5. 컴포넌트에서 위에 선언한 비동기 호출
const dispatch = useDispatch();
dispatch(getAsyncTodo.request('requestParam'));